오늘은 구글 서치콘솔에 내 블로그를 등록시켜 검색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보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은 아래 링크 참조 -!
[티스토리] 블로그 검색 노출 등록하기 - 네이버 검색 서치어드바이저
오늘은 네이버에서 내 블로그 글이 검색될 수 있도록 등록해보도록 하자! 과정은 아래와 같이 세단계로 나뉜다. 해보면 쉬우니 차근차근 고고~!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블로그 등록하기2. HT
olloliday.tistory.com
단계는 4단계로 네이버보다 조금 더 복잡하다. 하지만 차근차근 따라오면 다들 할 수 이따~~~~!
1. 구글 서치콘솔 계정 연결 및 등록
2. 구글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3. 메타 태그 등록
4. 사이트맵 등록
1. 구글 서치콘솔 계정 연결 및 등록
우선 블로그 관리에 들어가서 '플러그인'을 눌러준다.
구글 서치콘솔 클릭
계정 연결하기 클릭해서 본인 구글 계정을 연결한다.
나의 경우는 카카오톡이 구글이 아닌 다른 이메일로 연결돼 있어서 그걸 해야 하나? 싶었는데, 내가 갖고 있는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 했다. 자동으로 두 계정이 연결되는 듯하다.
올바르게 등록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적용 클릭
'사용중' 표시 확인하기
우선 여기까지 하면 완료!라고 한다.
여기까지만 해도 블로그 글을 올릴 때마다 자동으로 서치엔진에 등록된다고는 하는데, 몇 개의 블로그를 더 찾아보니 여기서 추가로 단계를 진행하면 그 노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해서 따라 해보았다.
2. 구글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소유권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지만 HTML 태그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쉬운 거 같아 이걸로 선택했다.
아래 링크로 이동
Google Search Console
로그인 Google 검색 콘솔로 이동
accounts.google.com
메타태그 찾기 위해 설정(Setting) -> 더 보기(Learn More)
내 구글은 영어와 한국말을 맘대로 왔다 갔다 함...
새로운 창이 나타나는데 거기서 '소유권 확인 방법 파악하기' -> '사용자 및 권한'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Search property 하고 내 블로그 주소 클릭
Users 중에서 내 이름 옆에 점 세 개 더 보기 클릭
소유권 확인 디테일 클릭
그러면 HTML 태그를 찾을 수 있다. 이 창을 잠시 열어두고 우리는 블로그 관리 페이지로 넘어간다.
3. 메타 태그 등록
관리 -> 플러그인 -> 메타 태그 등록
아까 열어둔 구글 페이지에서 name과 content를 각각 복사해서 붙여 넣을 거다.
아래와 같이 붙여 넣기 후 적용!
사실 처음 1단계만 진행했어도 자동으로 소유권 등록이 완료되었지만, 혹시나 조금이라도 더 노출이 잘되지 않을까 싶어 괜스레 확인차 메타태드 등록함...
4. 사이트맵 등록
마지막!! 구글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을 등록하고, 사이트맵에 sitemap.xml과 rss 가 등록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구글 서치콘솔로 이동 - Sitemaps 클릭
오 근데 이미 sitemap.xml 은 자동으로 등록돼 있다.
없다면 입력란에 sitemap.xml을 입력 후 제출하면 된다.
RSS 등록은 매뉴얼로 이렇게 rss 입력하고 제출했는데...
Couldn't fetch '가져올 수 없음'이 나왔다.
이거 검색해 보니 새로고침 하거나 재로그인하거나 며칠 기다리면 성공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고 해서 일단 기다려보려고 한다.
그럼 다들 문제없이 성공하셨길 바라며~~ 블로거들 모두 파이팅!
'티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구글 서치 문제해결 - Alternate page with proper canonical tag (0) | 2025.02.25 |
---|---|
[티스토리] 포스터 스킨 html 수정 - 글 리스트형 썸네일 사이즈 조정 (1) | 2025.02.22 |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했는데 검색 안됨 - 색인 생성 요청하기 (2) | 2025.02.21 |
[티스토리] 블로그 검색 노출 등록하기 - 네이버 검색 서치어드바이저 (0) | 2025.02.19 |
[티스토리] (왕초보 맞춤용) Poster 스킨 썸네일 제작 및 스킨 썸네일 사이즈 찾아 맞추기 (0) | 2025.02.17 |